Lucky Dog

[개발] Base64 vs Hexadecimal 본문

개발

[개발] Base64 vs Hexadecimal

Poohya 2016. 1. 8. 14:54

1) Base64


비트 이진 데이터(예를 들어 실행 파일이나, ZIP 파일 등)를 문자 코드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통 ASCII 영역의 문자들로만 이루어진 일련의 문자열로 바꾸는 인코딩 방식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원본 데이터에서 33% 사이즈 증가.

256가지를 표현할 수 있는 바이트를 printable한 64가지를 사용해서 표현하기 때문

8비트를 6비트로 표현하는 것이다. 3개의 8비트는 4개의 6비트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Base64 인코딩을 사용하면 원본보다 33%의 크기 증가가 발생한다.


2) Hex


0부터 9까지의 수와 A에서 F까지의 로마 문자를 사용하고, 이때 대소문자는 구별하지 않는다. 이진법 표기의 4자리와 십육진법 한 자리가 일대일 대응하며, 2진수가 많이 쓰이는 컴퓨터에서 2진수를 대신해 많이 쓰이고 있다.


원본데이터 byte * 2 만큼 사이즈 증가 

Base16 이라고도 부른다 (0~F 16개로 표현)

문자 A가 있다면 A를 Hexa 문자열로 표현 시 00 ~ FF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