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deprecating the install_referrer
- Rx자바
- RX
- Android
- 하드코드검색
- RXjava
- andorid studio
- android P
- hardcoded string search
- Retrofit2
- 안드로이드
- java
- RxJava2
- Switch to the Play Referrer API by March 1
- rxandroid
Archives
- Today
- Total
Lucky Dog
[개발] Base64 vs Hexadecimal 본문
1) Base64
비트 이진 데이터(예를 들어 실행 파일이나, ZIP 파일 등)를 문자 코드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통 ASCII 영역의 문자들로만 이루어진 일련의 문자열로 바꾸는 인코딩 방식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원본 데이터에서 33% 사이즈 증가.
256가지를 표현할 수 있는 바이트를 printable한 64가지를 사용해서 표현하기 때문
8비트를 6비트로 표현하는 것이다. 3개의 8비트는 4개의 6비트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Base64 인코딩을 사용하면 원본보다 33%의 크기 증가가 발생한다.
2) Hex
0부터 9까지의 수와 A에서 F까지의 로마 문자를 사용하고, 이때 대소문자는 구별하지 않는다. 이진법 표기의 4자리와 십육진법 한 자리가 일대일 대응하며, 2진수가 많이 쓰이는 컴퓨터에서 2진수를 대신해 많이 쓰이고 있다.
원본데이터 byte * 2 만큼 사이즈 증가
Base16 이라고도 부른다 (0~F 16개로 표현)
문자 A가 있다면 A를 Hexa 문자열로 표현 시 00 ~ FF
Comments